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혜택 총정리

by good_luck 2023. 12. 18.
반응형

기후동행카드는 한 달에 6만 5천 원으로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 다음 달 출시되는 기후동행카드 요즘 같은 고물가시대에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기후동행카드 확인해 보세요! 지금부터 기후통행카드 신청방법 혜택 총정리해 보겠습니다.

 

 

 

 

 


기후동행카드란?

기후동행카드란 서울시에서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더불어 고물가시대 가계부 담을 덜어주기 위해 무제한 정기이용권입니다. 서울시에서는 기후동행 카드 도입에 따라 연간 1만 3천대 가량의 승용차 이용이 감소, 연 3만 2천 톤의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는 2024년 1월 ~5월까지 시범운영을 하고 난 후 보완을 거쳐서 2024년 하반기부터 본격 시행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기후동행카드_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적용대상 및 혜택

 

기후동행카드혜택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 기후동행카드 요금: 월 6만 5천 원
  • 기후동행카트 적용대상: 서울시내 지하철, 시내버스, 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

인천 김포 광역버스,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골드라인은 3월부터 기후동행카드 적용예상입니다.

 

 

 

 

 

 

※ 참고사항

 

□ ‘서울 시내’에서 승·하차하는 ▴지하철 1~9호선을 비롯해 경의·중앙선, 분당선, 경춘선, 우이신설선, 신림선까지 모두 이용(기본요금 상이한 신분당선 제외)할 수 있다.

 ○ 서울에서 승차해 경기·인천 등 다른 지역에서 ‘하차’하는 경우에는 이용 가능하지만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승차하는 경우엔 기후동행카드 이용이 불가능하다.

 

□ ▴버스의 경우, 서울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는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경기·인천 등 타 지역 버스나 기본요금이 상이한 광역버스는 서울지역 내라도 이용할 수 없다.

 ○ 서울과 타 지역 버스를 구분하는 기준은 ‘노선 면허’를 얻은 지역을 중심으로 하며, 각 버스 노선번호를 검색하면 해당하는 면허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1시간 이용권’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으며, 시는 향후 ▴리버버스 등 새롭게 추가되는 차세대 친환경 교통수단까지 확대 운영해 나갈 계획이다.

                                                          

-출처: https://www.seoul.go.kr/-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기후동행카드는 실물카드와 스마트폰 앱으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판매: 1월 23일 오전7시~

기후동행카드 사용일: 1월 27일 첫차부터 사용

 

 

  • 실물카드
    3천 원에 실물카드를 구입한 후 매달 6만 2천 원, 따릉이 이용 포함 시 6만 5천원 충전하고 이용하면 됩니다.

 

실물카드 구입처: 1) 구입: 지하철 1~8호선 내 고객안전실 또는 역사인근 편의점

                            2) 등록: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

                            3)  충전: 역사 내 무인충전기에서 현금으로 충전
※ 역사 내 고객안전실은 현금 결제만 가능합니다.

 

 

실물카드를 구입했다면 등록하세요!

 

K-패스 실물카드 등록

 

 

 

  • 스마트폰 앱
    티머니 모바일 앱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신청

 

 

회원가입 후 기후동행 카드 발급 및 충전하면 됩니다.

(IOS스마트폰은 실물카드 이용)

결제수단: 계좌이체

 

 

 

기후동행카드 이용방법

 

 

지하철&버스: 실물/모바일카드 태그

따릉이: 티머니 Go 이용

 

 

 

 

 

 

기후동행카드 김포·인천 적용

 

서울시기후동행카드는 서울을 비롯해서 김포와 인천도 적용이 됩니다. 인천 김포 광역버스,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골드라인은 3월부터 적용예정입니다. 기후동행카드는 2024년 1월부터 5월까지는 시범적으로 운영이 되며, 2024년 하반기부터 본격시행이 됩니다. 평소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경우라면, 해당 내용을 잘 확인해 보시고 교통비 절약 혜택 받으세요~

 

 

<<기후동행카드적용 지하철 노선>>

 

(2, 6, 8, 9호선, 우이신설선, 신림선) 전구간

(1호선) 온수/금천구청~ 도봉산

(3호선) 지축~ 오금

(4호선) 남태령~ 당고개 

(5호선) 방화~ 강일/마천

(7호선) 온수~ 장암

(공항철도) 김포공항~ 서울역

(경춘선) 청량리~ 신내

(경의중앙선) 수색~ 양원/서울역

(수인분당선) 청량리~ 복정

 

※ 이용제외: 신분당선, 서울지역 외 지하철

                    광역.공항버스, 타 지역 면허버스

 

 

버스: 서울시 면허 버스는 서울지역 외에서 승차해도 기후동행카드 사용가능

지하철: 서울지역내에서 승차한 후 서울지역 외 역에서 하차할 경우 기후동행카드 사용불가

(서울에서 승차 후 경기에서 하차하는 경우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하차역에서 역무원에 의해 별도 요금징수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