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0일부터 시작된 '요양기관 본인확인 강화 제도' 시행으로 병원 갈 때 신분증 꼭 챙겨 가야됩니다. 다른 사람 명의로 건강보험 혜택을 받는 부정수급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시행한다고 합니다. 지금부터 병원 신분증 의무화 미성년자 모바일 패스 총정리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내용 잘 확인하세요!
목차
병원 신분증 의무화
2024년 5월 20일부터 국민건강보험에서는 국민건강보험법 제12조 제4항 '요양기관 본인확인 강화 제도'가 시행된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동안은 병원에 가서 따로 신분증을 제시하지 않고 생년월일과 이름을 제시하면 진료 접수를 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부터 병원 갈 때는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을 제시해야 됩니다.
병원 신분증 의무화 신분증 종류
병원 신분증 의무화 시행에 인정되는 신분증은 행정기관, 공공기관이 발행한 증명서이며 사진이 붙어 있어야 합니다. 주민증록번호 또는 외국읹등록번호가 포함되어 본인임을 확인 가능한 증명서 또는 서류, 신분증 사본은 인정하지 않습니다.
신분증을 지참하지 않는 경우는 건강보험적용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진료비 전액을 부담해야 합니다.
※ 단 14일 이내에 신분증과 진료받은 영수증을 가져가면 건강보험이 적용된 금액으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 여권
- 장애인등록증
- 외국인등록증
- 모바일 신분증
- 건강보험증
- 모바일 건강보험증
*종이로된 건강보험증과 모바일 건강보험증의 경우는 사진이 부착되어 있지 않고 주민등록번호 미기재로 해당 증으로 본인 확인이 어려운 경우는 신분증명서의 제시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병원 신분증 의무화 미성년자 및 제외 대상
국민건강보험 병원 신분증 의무화 미성년자 및 제외 대상에 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신분증 제시 제외 대상>>
- 병원 신분증 의무화 미성년자
19세 미만의 경우 신분증 확인 제외됩니다. - 6개월 이내 본인 여부를 확인한 기록이 있는 경우
- 의사 처방전으로 약국에서 약을 사는 경우
- 진료 의뢰 및 회송 받는 경우
- 응급환자
- 거동 불편자
- 중증장애인
- 장기 요양자
- 임산부
병원 신분증 의무화 모바일
병원에서 신분증 제시를 간편하게 하기 위한 모바일 신분증 사용 앱에 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1)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 → 본인확인(휴대폰인증 또는 금융인증서) → 로그인 방법 설정[비밀번호 또는 생체인증* (패턴, 지문, 얼굴)]
* (생체인증) 스마트폰 설정에서 생체인증을 먼저 등록한 후 사용가능
2)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3) PASS앱
(안드로이드용)
(애플용)
언제 어디서든지 확인 가능한 모바일 신분증으로 병원 이용 편리하게 하세요!
댓글